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ci/cd] 도커를 이용해서 젠킨스 로컬로 띄어보기!!

by 근즈리얼 2023. 1. 3.
728x90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은 도커를 이용해서 젠킨스를 로컬로 띄어보겠습니다!

 

docker desktop을 설치할 수 있는 경로입니다.

https://www.docker.com/products/docker-desktop/

 

Docker Desktop | Docker

Docker Desktop is available to download for free on Mac, Windows, or Linux operating systems. Get started with Docker today!

www.docker.com

도커는 모든 분들이 문제없이 설치했을 것이라고 예상해보겠습니다.

 

명령어로 docker images를 입력한 뒤 실행하면 이미지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번에는 젠킨스의 이미지를 다운받아 볼건데요!

https://www.jenkins.io/download/

 

Jenkins download and deployment

Jenkins download and deployment The Jenkins project produces two release lines: Stable (LTS) and regular (Weekly). Depending on your organization's needs, one may be preferred over the other. See the links below for more information and recommendations abo

www.jenkins.io

 

위의 링크를 들어가면 

위의 화면을 만날 수 있습니다. 저희는 docker를 이용해서 설치를 할 것이기 때문에 Docker를 클릭하시면 됩니다. 클릭 시 아래의 화면을 만날 수 있습니다.

 저희가 필요한 부분은 제가 빨간색으로 표시한 부분인데요 복사한 뒤에

맥에서는 터미널에서

윈도우에서는 cmd창에서 붙여넣기 후 실행하면 됩니다.

저는 윈도우라서 cmd창에 명령어를 입력했고

처음 설치한다면 좀 더 설치과정이 나오지만 저는 과거에 설치를 했었어서 짧게 현재 상태만 나왔습니다.

 

이번에는 실제로 도커를 이용해서 젠킨스를 실행시켜보겠습니다.
https://github.com/jenkinsci/docker

 

GitHub - jenkinsci/docker: Docker official jenkins repo

Docker official jenkins repo. Contribute to jenkinsci/docker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위의 링크는 젠킨스 깃허브 url인데요!
readme부분을 보시면 됩니다. 

제가 빨간색으로 표시한 부분들이 도커로 이미지를 실행시키는 것인데요!

제가 사용할 명령어를 가져오고 간단하게 설명해보겠습니다.

docker run -d -v jenkins_home:/var/jenkins_home -p 8088:8080 -p 50000:50000 --name  jenkins-server --restart=on-failure jenkins/jenkins:lts-jdk11
// -p 8088:8080 -> 외부에서 8088포트로 접근할 수 있고 docker내부에서 8080을 사용한다는 뜻입니다.
// --name jenkins-server 도커로 실행시켰을 때 컨테이너 이름을 jenkins-server로 한다는 뜻입니다.
// -v은 volumn을 지정하는 것인데 컨테이너를 실행/종류를 해도 데이터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해주는 명령어입니다. 이부분은 저도 자신이 없고..
//조금더 공부가 필요하시다면 도커 볼륨을 공부해 보실 것을 추천드립니다.

위의 명령어는 터미널이나 cmd창에서 바로 입력하시기만 하면 됩니다.

입력 후에 docker를 체크해보겠습니다.

이렇게 컨테이너가 잘 실행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후에는 localhost:8088을 크롬창 url에 입력해서 젠킨스에 접속할 수 있습니다.

처음에는 이런 화면을 만날 수 있는데요! (저는 이미 비밀번호를 입력해서 제가 보고 있는 강의의 일부분을 가져왔습니다.)

빨간색으로 보여주고 있는 경로를 통해서 비밀번호를 찾아볼 수도 있구요.
아니면 docker logs jenkins-server 명령어를 입력해서 비밀번호를 찾을 수도 있습니다.

이후에는 Install suggested plugins를 클릭하고 간단한 본인이 기억하기 쉬운 계정을 만들기만 하면 됩니다.

 

그 이후에는 그립고... 너무 보고 싶었던 젠킨스 화면을 만날 수 있습니다.

저는 이미 새로운 item도 만들어 버렸네요...

 

여기까지 도커로 젠킨스 로컬 실행시키기 였습니다!

저의 부족한 필력때문에 여기까지 와주신 분이 계실지... 하하.. 있다면 정말 감사합니다~!

이상 포스팅 끝입니당!

 


참고자료입니다.

https://www.inflearn.com/course/%EC%A0%A0%ED%82%A8%EC%8A%A4-ci-cd-%ED%8C%8C%EC%9D%B4%ED%94%84%EB%9D%BC%EC%9D%B8/dashboard

 

Jenkins를 이용한 CI/CD Pipeline 구축 - 인프런 | 강의

본 강의는 클라우드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을 구성하는 4가지 핵심 요소(MSA, CI/CD, DevOps, Container) 중 하나인 CI(Continuous Integration, 지속적인 통합)과 CD(Continuous Deployment, 지속적인 배포) 파이프라...

www.inflearn.com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