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포스팅에서는 싱글톤 패턴에 대해서 정리해보겠습니다.
싱글톤
- 스프링은 기업용 온라인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서 탄생했습니다.
- 따라서 대부분의 스프링 애플리케이션은 웹 애플리케이션입니다
-> 이로 인해 동시에 여러 고객으로부터 요청을 받습니다.
위의 그림처럼 애플리케이션이 동작할 때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매번 새로운 객체를 생성해야 합니다.
@Test
@DisplayName("스프링 없는 순수한 DI 컨테이너")
void pureContainer(){
AppConfig appConfig = new AppConfig();
//1. 조회 : 호출할 때 마다 객체를 생성
MemberService memberService1 = appConfig.memberService();
//2. 조회 : 호출할 때마다 객체를 생성
MemberService memberService2 = appConfig.memberService();
//참조값이 다른 것을 확인
System.out.println("memberService1 = " + memberService1);
System.out.println("memberService2 = " + memberService2);
assertThat(memberService1).isNotSameAs(memberService2);
}
위의 코드는 스프링 컨테이너를 부르지 않고 AppConfig를 직접 실행시킨 경우입니다.
memberService1과 memberService2가 같지 않음을 알수 있고
이는 memberService를 호출할 때마다 새로운 객체가 만들어짐을 알 수 있습니다.
정말 작은 클라이언트의 요구를 수용하는 애플리케이션에서는 문제가 되지 않지만 스프링을 활용하는 대규모 애플리케이션에서 이런 방식은 메모리 낭비가 심하게 일어납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해당 객체를 딱 1개만 생성하고 공유해서 사용해야 합니다 -> 싱글톤 패턴
싱글톤 패턴
- 클래스의 인스턴스가 딱 1개만 생성되는 것을 보장하는 디자인 패턴을 말합니다.
- 따라서 객체 인스턴스가 2개 이상 생성하지 못하도록 막아야 하는데
-> 생성자를 private으로 선언해 외부에서 new 키워드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막아야 합니다.
public class SingletonService {
private static final SingletonService instance = new SingletonService();
public static SingletonService getInstance(){
return instance;
}
private SingletonService(){
}
public void login(){
System.out.println("싱글톤 객체 로직 호출출");
}
}
위의 코드를 보면 static을 이용해 인스턴스를 미리 생성해두고
인스턴스는 private로 다른 클래스에서 접근하지 못하도록 합니다.
@Test
@DisplayName("싱글톤 패턴을 적용한 객체 사용")
void singletonServiceTest(){
SingletonService instance1 = SingletonService.getInstance();
SingletonService instance2 = SingletonService.getInstance();
System.out.println("instance1 = " + instance1);
System.out.println("instance2 = " + instance2);
assertThat(instance1).isSameAs(instance2);
}
test결과가 성공하며
출력되는 service도 같음을 알수 있습니다.
이런 방식으로 메모리를 아낄 수 있는 싱글톤 패턴을 이용할 수 있지만 문제점도 있습니다.
싱글톤 패턴의 문제점
- 싱글톤 패턴을 구현하기 위해서 코드가 추가적으로 필요합니다.
- 의존관계상 클라이언트가 구체 클래스에 의존하게 됩니다.
- 테스트하기가 어렵습니다.
- 내부 속성을 변경하거나 초기화 하기 어렵습니다.
- private생성자로 자식 클래스를 만들기 어렵습니다.
- 결론적으로 유연성이 떨어지게 됩니다.
싱글톤 컨테이너
- 스프링 컨테이너는 싱글톤 패턴의 문제를 해결하면서 객체 인스턴스를 싱글톤으로 관리합니다.
- 스프링 컨테이너는 싱글톤 컨테이너 역할을 하며 싱글톤 객체를 생성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싱글톤 레지스트리 라고 합니다.
- 따라서 지저분한 코드가 들어가지 않고 DIP,OCP,테스트, private생성자로 부터 자유롭게 싱글톤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Test
@DisplayName("스프링 컨테이너와 싱글톤")
void springContainer(){
ApplicationContext ac = new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AppConfig.class);
MemberService memberService1 = ac.getBean("memberService", MemberService.class);
MemberService memberService2 = ac.getBean("memberService", MemberService.class);
System.out.println("memberService1 = " + memberService1);
System.out.println("memberService2 = " + memberService2);
assertThat(memberService1).isSameAs(memberService2);
}
위의 코드는 스프링 컨테이너를 활용해 memberService를 호출한 방법입니다.
테스트가 성공하고
memberServie가 같은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림과 같이 정리 할 수 있습니다.
싱글톤 방식의 주의점
- 싱글톤 패턴 뿐만 아니라 객체 인스턴스를 하나만 생성해서 공유하는 싱글톤 방식은 여러 클라이언트가 하나의 같은 객체 인스턴스를 공유하기 때문에 싱글톤 객체는 상태를 유지하게 설겨하면 안됩니다.
- 즉 무상태로 설계해야 합니다.
-> 특정 클라이언트에 의존적인 필드가 있으면 안됩니다.
-> 특정 클라이언트가 값을 변경할 수 있는 필드가 있으면 안됩니다.
-> 가급적 읽기만 가능해야 합니다.
-> 필드 대신에 자바에서 공유되지 않는 지역변수, 파라미터, ThreadLocal등을 사용해야 합니다.
** 정말 주의해야 합니다!!
public class StatefulService {
private int price;
public void order(String name, int price){
System.out.println("name = " + name + " price = " + price);
this.price = price;
}
public int getPrice(){
return price;
}
}
상태 필드가 있는 클래스르 만듭니다.
public class StatefulServiceTest {
@Test
void statefulServiceSingleton(){
ApplicationContext ac = new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TestConfig.class);
StatefulService statefulService1 = ac.getBean(StatefulService.class);
StatefulService statefulService2 = ac.getBean(StatefulService.class);
statefulService1.order("userA",10000);
statefulService2.order("userB",20000);
int price = statefulService1.getPrice();
System.out.println("price = " + price);
Assertions.assertThat(statefulService1.getPrice()).isEqualTo(20000);
}
static class TestConfig{
@Bean
public StatefulService statefulService(){
return new StatefulService();
}
}
}
클래스안에 TestConfig클래스를 만들고 @Bean을 이용하여 아까 만들어둔 클래스를 스프링 컨테이너에 등록합니다.
따라서 statefulService는 싱글톤 패턴이 됩니다.
그 후의 위에 test를 진행하면 어떻게 될까요??
test마지막쯤에 출력부분에서 제가 원하는 출력은 statefulService1의 price인 10000이 출력되기를 바라면서 test를 돌려보겠습니다.
테스트의 결과는 제 예상과는 다른 20000이 출력되었습니다.
즉 필드의 값이 공유되어 마지막에 statefulService2의 값이 statefulService1의 값에 영향을 준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공유필드에 대해서 신중하게 설계를 해야합니다.!!
@Configuration과 싱글톤
싱글톤 패턴과 스프링 컨테이너에 대해서 정리를 해봤습니다.
그런데 한가지 궁금한 점이 생겼습니다.
바로 AppConfig입니다.
@Configuration
public class AppConfig {
@Bean
public MemberService memberService(){
return new MemberServiceImpl(memberRepository());
}
@Bean
public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
return new MemoryMemberRepository();
}
@Bean
public OrderService orderService(){
return new OrderServiceImpl(memberRepository(), discountPolicy());
}
@Bean
public DiscountPolicy discountPolicy(){
return new RateDiscountPolicy();
}
}
이 코드를 보시면
memberService빈을 만들때 memberRepository()를 호출하고
memberRepository()를 호출하면 new MemoryMemberRepository를 호출합니다.
마찬가지로
orderService를 호출하면 memberRepsitory를 호출하고 이에 따라
new MemoryMemberRepository가 호출됩니다.
이런 경우를 봤을 때 memberService와 orderService를 호출할 때 MemoryMemberService를 여러번 호출하게 되고
싱글톤 패턴이 깨지는 것처럼 보입니다. 과연 진짜로 깨지는 것일까요?
public class MemberServiceImpl implements MemberService {
private final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테스트 용도
public MemberRepository getMemberRepository() {
return memberRepository;
}
}
public class OrderServiceImpl implements OrderService {
private final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테스트 용도
public MemberRepository getMemberRepository() {
return memberRepository;
}
}
이런식으로 test를 위해서 각각 servieImpl에 본인을 찾는 메소드를 만듭니다.
public class ConfigurationSingletonTest {
@Test
void configurationTest() {
ApplicationContext ac = new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AppConfig.class);
MemberServiceImpl memberService = ac.getBean("memberService", MemberServiceImpl.class);
OrderServiceImpl orderService = ac.getBean("orderService", OrderServiceImpl.class);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 ac.getBean("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class);
//모두 같은 인스턴스를 참고하고 있다.
System.out.println("memberService -> memberRepository = " + memberService.getMemberRepository());
System.out.println("orderService -> memberRepository = " + orderService.getMemberRepository());
System.out.println("memberRepository = " + memberRepository);
//모두 같은 인스턴스를 참고하고 있다.
assertThat(memberService.getMemberRepository()).isSameAs(memberRepository);
assertThat(orderService.getMemberRepository()).isSameAs(memberRepository);
}
}
이제 test 코드를 실행시켜보면 신기한 일이 발생합니다.
여러번 호출될 줄 알았던 memberRepsitory가 모두 같은 memberRepository였습니다.
이제 어떻게 된일인지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이 사건의 배경에는 @Configuration이 있었습니다.
문득 스프링 컨테이너에 AppConfig가 어떻게 등록되어 있는지 궁금해서 테스트 코드를 만들고 돌려봤습니다.
@Test
void configurationDeep() {
ApplicationContext ac = new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AppConfig.class);
//AppConfig도 스프링 빈으로 등록된다.
AppConfig bean = ac.getBean(AppConfig.class);
System.out.println("bean = " + bean.getClass());
}
//출력: bean = class hello.core.AppConfig$$EnhancerBySpringCGLIB$$bd479d70
보면 뒤에 이상한 CGLIB라는게 붙어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결론부터 말하면 스프링이 CGLIB라는 바이트코드 조작 라이브러리를 이용해 @Configuration이 붙어있는 AppConfig클래스를 상속받는 임의의 클래스를 만들고 그 클래스를 통해 스프링 빈이 싱글톤을 유지할 수 있었던 것입니다.
AppConfig@CGLIB예상 코드입니다.
@Bean
public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if(memoryMemberRepository가 이미 스프링 컨테이너에 등록되어 있으면?){
return 스프링 컨테이너에서 찾아서 반환;
}
else{ // 스프링 컨테이너에 없으면
기존 로직을 호출해서 MemoryMemberRepository를 생성하고 스프링 컨테이너에 등록
return 반환
}
}
이전 AppConfig에서는 무조건 new MemoryMemberRepository를 반환했지만
CLGIB라이브러리를 통해 AppConfig를 상속받은 AppConfig@CGLIB는 스프링 빈을 먼저 찾아보고 없을 경우 새로운 객체를 생성하게 됩니다.
-> 이 방법을 통해 싱글톤 패턴을 유지할 수 있는 것입니다.
출처
'스프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프링과 의존관계 자동 주입 (0) | 2021.09.20 |
---|---|
스프링 컨포넌트 스캔 (0) | 2021.09.15 |
스프링 컨테이너와 스프링 빈 (0) | 2021.09.13 |
스프링 프레임워크란 무엇일까? (0) | 2021.08.17 |
순수 자바를 이용한 스프링 의존관계의 원리(IoC,DI) (1) | 2021.08.07 |
댓글